새 책 『생물철학』 나왔습니다.

최종덕 지음 『생물철학』 씨아이알 2023


목차
서문
감사의 글 2023/2014
감사의 글 2023

『생물철학』 초판 이후 많은 내용이 변하고 바뀌었다. 새로운 주제가 보완되고 철학적 관점이 확장되면서 책의 주제가 9개 장에서 12개 장으로 늘었다. 그동안 관련 생물학 논문이 새롭게 생산된 만큼 철학적 해석도 다양해졌고 그에 따른 다수의 참고문헌이 추가되었다.

『생물철학』은 처음부터 끝까지 생물학 소재의 날줄을 철학적 사유의 씨줄 위에서 짰다. 세상의 많은 지식을 전개하는 인공지능이 등장하면서 개정판 『생물철학』은 지식을 소개하는 수준이 아니라 생명지능이 펼칠 수 있는 철학적 관점과 해석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영어권과 독일어권 생물철학 관련 책의 주제들을 대부분 담아냄으로써 일반 독자는 더 넓게, 전문 독자는 더 깊은 공부로 이어지도록 이 책을 썼다.

공부는 혼자하지만 공부를 이루는 일은 혼자 되지 않는다. 책이 새롭게 나오기까지 주변의 많은 분들과 책을 내주는 씨아이알 출판사에 학문과 일상의 도움을 크게 받았다. 고마울 따름이다. 특히 나의 처 순덕에게 항상 감사의 마음을 빚고 있다.

2023년 7월, 저자 최종덕


bookCover 0f Philosophy of Biology


1장 기계론과 생기론

1. 근대과학의 세계관
1.1 물리과학의 세계관
1.2 생명과학의 자연관

2. 전근대 생물학의 원리, 생기론
2.1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
2.2 생기론-신비주의와 자연주의 생기론
2.3 목적론과 생기론

3. 물리주의와 기계론
3.1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생명관
3.2 라메트리의 질적 기계론
3.3 물리주의
3.4 환원주의
3.5 물리주의와 생기론의 병립
3.6 물리주의의 난제
3.7 벌거벗은 생명

2장 생물철학과 그 방법론

1. 생명계의 특징
1.1 생명을 정의하는 방식
1.2 생명의 소산구조와 자기조직성
1.3 수렴하는 열린계와 개체 개념
1.4 생명 정보의 특징
1.5 생명 정의: 캉길렘과 트리포노프

2. 생물학적 방법론으로서 유기체주의
2.1 유기체주의
2.2 생물학적 추론법
2.3 유기체주의 방법론

3. 생물학적 인식론
3.1 근접원인과 궁극원인
3.2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3.3 자연을 바라보는 인식론적 태도
3.4 서술과학과 분석과학: 과학에서 사용된 메타포

4. 자연주의 철학으로서 생물철학
4.1 자연주의 인식론과 방법론
4.2 인식의 연속성과 좁은 의미의 방법론
4.3 생물철학을 정의하기
4.4 생물철학 기초론으로서 진화존재론

3장 진화론의 역사와 『종의 기원』

1. 진화이론의 구조
1.1 시간과학으로서 진화론
1.2 진화론 개념의 배후

2. 라마르크에서 찰스 다윈으로
2.1 찰스 다윈 이전 라마르크의 진화 개념
2.2 바이스만과 마이어에 의해 안정된 다윈 진화론
2.3 『종의 기원』 읽기

3. 20세기 진화생물학
3.1 현대 진화종합설 이후
3.2 진화론의 사회적 반향

4장 선택과 적응

1. 자연선택 기초론
1.1 자연선택
1.2 성선택
1.3 선택의 조건으로서 변이

2. 적응의 의미
2.1 적응주의
2.2 적응 개념에 대한 오해 그리고 소버의 적응 개념
2.3 상동과 상사
2.4 굴절적응, 이차적응, 전적응
2.5 적응과 적합도의 차이, 적응적인 것과 적응된 것의 차이
2.6 적응도, 리처든슨의 적응주의
2.7 스팬드럴 논쟁과 적응주의
2.8 적응주의 보완과 해명– 라카토스 연구프로그램
2.9 조지 윌리엄스의 진화 유형과 적응 기준

3. 선택 수준
3.1 선택 수준의 의미와 범주
3.2 다윈이 생각했던 집단의 사회성
3.3 집단선택론
3.4 윌리엄스의 적응과 자연선택 - 개체수준 선택
3.5 해밀턴의 포괄적합도- 유전자 수준의 선택
3.6 유전자선택론 논쟁
3.7 성비와 선택수준
3.8 다층수준 선택

4 열린 논쟁, 열린 과학 –생물막 사례로 본 선택수준

5. 진화의 방향과 목적론
5.1 목적론의 의미와 내용
5.2 외적 목적론과 실재론
5.3 내적 목적론
5.4 진화에는 목적이 없다

5장 생물종의 철학

1 본질주의 분류학
1.1 아리스토텔레스의 본질과 분류
1.2 린네의 종 분류
1.3 린네의 이명법
1.4 유명론 철학과 뷔퐁의 반본질주의

2. 현대적 의미의 종 개념
2.1 유형론에서 벗어난 개체로서의 종
2.2 마이어의 종 개념
2.3 종분화를 설명하는 두 가지: 향상진화와 분기진화
2.4 다양한 종 분류법
2.4.1 생물학적 종 개념
2.4.2 계통학적 종 개념

3 종을 해석하는 다원론적 입장

4. 모자이크, 니치, 클러스터 이론
4.1 생태적 모자이크 이론: 스티렐니
4.2 브흐바의 견해
4.3 엘드리지의 견해
4.4 항상성 클러스터 이론

6장 발생계 철학

1 발생학적 사유
1.1 발생학의 역사 그리고 상동과 상사
1.2 현대적 의미의 발생학적 사유

2 발생진화의 주요 개념들
2.1 항상성
2.2 발생적 제약
2.3 발생적 제약의 사례: 구조적 제약
2.4 발생적 형태

3 적응과 제약의 상보성

4 유전자를 읽는 발생학적 사유
4.1 계통발생학에서 발생유전학으로
4.2 유전자 스위칭
4.3 혹스 유전자
4.4 형태유전자의 상동
4.5 스위칭 개념 이전: 와딩턴의 유전적 동화
4.6 후성유전학의 이해
4.7 발생학적 사유로 본 유전체에 대한 철학적 질문

5 발생계 이론
5.1 오야마의 발생계 이론
5.2 발생계의 생태주의 특성
5.3 발생계의 구성주의 특성
5.4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관계 특성
5.5 구성주의 방법론의 한계와 CES모델

6 발생계 이론의 철학적 의미
6.1 후성주의 발생학적 인식론
6.2 생명의 존재론적 동등성
6.3 발생계 철학의 가능성

7장 진화생물학의 인과론

1. 유기체 형질의 기능 개념과 자연선택
1.1 선택결과 기능과 인과역할 기능
1.2 선택결과와 인과역할의 종합
1.3 정크 DNA와 선택결과 이론

2 진화의 우연성과 인과성
2.1 물리과학의 법칙성과 시간 가역성
2.2 우연, 운, 무작위
2.3 진화생물학의 비가역성과 방법론적 고유성

3 미시진화의 인과관계
3.1 미시진화와 거시진화의 차이
3.2 미시진화의 인과성

4 거시진화의 역사적 우연성
4.1 굴드의 비가역적 진화
4.2 거시진화의 우연성

5 자연주의 인과론
5.1 비티의 역사적 우연
5.2 역사적 우연의 인식론적 문제와 엔트로피

6 철학적 재해석: 생-물리적 제약

7. 생-물리적 제약의 사례: 북극흰여우의 유전자 표류

8장 면역학적 자아

1 메치니코프 면역학의 철학적 존재론
1.1 면역학적 사유의 전개
1.2 메치니코프의 면역학

2. 버넷의 클론선택설
2.1 버넷의 생태학적 자아 개념과 정보이론
2.2 기존 주형모델과 교습이론
2.3 예르네의 네트워크이론
2.4 버넷의 클론선택설

3 면역기억과 면역관용: 면역학의 인식론
3.1 진화론적 유사성
3.2 면역 작용의 특이성
3.3 면역기억
3.4 버넷의 면역관용
3.5 자기의 면역 능동성과 인식능력
3.6 진화론적 인식론으로서 면역학

4. 박멸과 길들이기
4.1 메타포로 본 면역작용: 충돌, 회피, 공존
4.2 면역 과잉반응과 길들이기
4.3 백신으로 비자기 길들이기
4.4 회피, 제압, 중화의 대응
4.5 코로나 바이러스 코비드-19의 경우

5 철학적 자아
5.1 실체론에서 관계론으로
5.2 면역학의 철학

9장 공생과 공진화

1. 공생 개념의 역사

2 공생 개념과 그 의미
2.1 생물학자 마굴리스의 세포내 공생
2.2 곤충학자 더글라스의 공생 개념
2.3 과학철학자 피콕의 공생과 진화
2.4 공생과 더불어 삶 - 일반적 정의

3. 암세포와 정상세포 사이의 관계
3.1 이익-비용 균형이 깨진 암세포
3.2 진화사적 공존으로서 암세포

4. 공존의 사례
4.1 바이러스와의 공존
4.2 서로 다른 사례들: 진화의 소산물

5. 공진화

6. 공존과 공생, 그 철학적 의미

10장 몸과 마음: 신경생물학의 철학

1 마음과 뇌
1.1 심신론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
1.2 방법론: 통시성 연구
1.3 행동성향의 진화론적 시원 : 방향성 표상
1.4 행동성향, 방향성 형질의 비국소성
1.5 데닛의 지향적 자세
1.6 실재로서의 행동성향
1.7 자니가의 의향 개념과 경향 개념
1.8 행동성향의 마음, 준비하는 마음

2 중성적 일원론의 다양한 유형
2.1 다마지오의 심신 일원론
2.2 진화 실재로서의 마음, 생태적 유전기제
2.3 모자이크 진화와 연동 진화
2.4 마음-뇌-신체의 통합적 삼각대: 중성 일원론

3 시냅스 철학의 존재론적 전환: 가소성
3.1 신경세포의 안정화
3.2 시냅스로 통하는 화학신호와 전기신호
3.3 시냅스의 가소성
3.4 시냅스 존재론의 변화
3.5 사례: 시냅스 관련 질병
3.6 사례: 거울시상효과
3.7 사례: 중독과 소외

11장 진화윤리학과 인간본성론

1 전통 윤리학에서 진화윤리학으로
1.1 20세기 현대 윤리학 이론들
1.2 진화윤리학의 등장
1.3 폴머의 자연화된 윤리학
1.4 럼스덴과 윌슨의 후성규칙과 유전자 결정론
1.5 루스의 진화윤리학
1.6 키쳐의 생물학적 윤리학

2 생물학적 이기주의와 이타주의
2.1 인간의 행동유형
2.2 집단선택론에서 유전자 선택론으로
2.3 포괄적합도 이론 : 해밀턴과 굴드
2.4 죄수의 딜레마와 내쉬균형
2.5 팃포탯과 게임이론
2.6 트리버스의 호혜주의
2.7 소버의 평균값 오류

3. 이타주의
3.1 드발의 이타주의
3.2 프랭크의 헌신성 이타주의

4 사례: 자기기만의 진화론적 해석
4.1 형태기만과 의식기만
4.2 거울 뉴런과 마음이론
4.3 자기기만의 확장
4.4 자기기만의 적응진화 해석
4.5 그린왈드의 이익편향성
4.6 사르트르의 진정성

5 공동체의 가능성
5.1 희생과 상벌의 결합
5.2 이기적 본성과 협동성 행동성향 연구사례

12장 생물철학과 사회생물학

1 생물학과 사회
1.1 스펜서 사회다윈주의의 역사적 부작용
1.2 사회생물학의 범주

2 형이상학적 진보: 목적지향적 진보
2.1 철학으로 본 보수와 진보
2.2 플라톤: 이데아를 향한 진보
2.3 아리스토텔레스의 궁극목적 지향의 진보
2.4 유토피아의 목적론적 세계관
2.5 형이상학적 진보의 목적성

3 진화와 진보는 다르다
3.1 윌리엄스의 생물학적 진보
3.2 마이어와 도킨스의 진보 - 실용주의 진보
3.3 과학의 진보는 과학적 실재를 찾아가는 과정
3.4 빅토리아 시대의 자유와 진보

4. 과학과 인간의 소통
4.1 ‘과학적’이란 무엇인가
4.2 과학 지식이 가치중립적인가
4.3 관점과 방법, 지식의 양면
4.4 글쓰기로 구성하는 지식
4.5 메타포 사용하기
4.6 지식의 합의
4.7 소통의 조건

5. 진화존재론


참고문헌

인명색인

주제색인

<지은이 소개>
최종덕은 물리학, 수학, 생물학, 철학을 공부하면서 독일 기센Giessen 대학교에서 과학철학으로 학위를 했다. 이후 상지대학교 교수로 있으면서 진화생물학과 의학의 철학 공부에 집중했다. 현재는 독립학자로서 웹아카이브 philonatu.com를 통해 과학과 철학, 생활과 성찰, 동양과 서양, 물질과 의식을 가로지르는 글쓰기를 하고 있다.

저서로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의학의 철학』, 『뇌복제와 인공지능 시대』(번역), 세종도서로 선정된 『비판적 생명철학』, 『이분법을 넘어서』(장회익 공저), 그리고 『승려와 원숭이』(심재관 공저)가 있다. 이 외에도 『인문학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시앵티아』, 『찰스 다윈, 한국의 학자를 만나다』, 『과학철학의 역사』(정병훈 공역), 『부분의 합은 전체인가』 등 지은이의 여러 저서들이 이 책 『생물철학』 안에 녹아들었다.

최종덕의 전문연구와 생활 글쓰기의 모든 자료 및 공부경력은 자체제작한 개인 홈페이지 philonatu.com에 공개되어 있다.



(신국판 824쪽)

출판사: 도서출판 씨아이알
출간일 : 2023년 9월 20일


**** 아래처럼 빛 반사된 표지를 보시면 도드라진 꿀벌로 보이기도 합니다. 책표지로 벌과 벌집, 제가 그리고 디자인했습니다.

사진설명

**** 벌집 육각형 하나를 그린 다음 일일이 복사-붙이기를 반복하여 벌집을 구성했습니다.
그래야 욕각형 하나하나를 편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벌집 위에 따로 그린 벌을 오버랩 한 그림입니다.

홈페이지로 되돌아가기